Java/Java 이론

[JAVA] 배열

2주녘 2023. 8. 4. 09:56
반응형
배열(Array)이란?
연관된 데이터를 모아 통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

앞에서 배웠던 변수는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라면, 배열은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기 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 동일한 자료형의 순차적 자료구조
  • 인덱스 연산자 [ ]를 이용하여 빠른 참조가 가능
  • 물리적 위치와 논리적 위치가 동일
  • 배열의 순서는 0부터 시작

배열의 선언 및 초기화

// 1. 선언과 초기화

int [] arr1; // 변수의 선언 (int가 아니라 int 배열이다.)

arr1 = new int[2]; // 배열의 초기화는 반드시 크기를 먼저 지정해주어야 사용가능하다.

// 배열의 크기도 생각을 해보자

double[] arr2 = new double[2]; //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 값을 넣는 방법

arr1[0] = 100;

arr1[1] = 1000;

// 모든 인덱스의 순서는 0번부터 시작한다.

 

System.out.println(arr1[1]); // 두번째 값 출력

System.out.println(arr1[0]); // 첫번째 값 출력

 

// 주의 : 배열의 길이와(크기) 인덱스의 번호는 다르다.

// 공식 : 배열의 인덱스 번호는 n-1

// 오류코드 : System.out.println(arr1[2]); // 배열의 길이는 2이나 인덱스는 0, 1 까지만 존재하기 때문에 2는 존재하지 않는다.

 

arr2[0] = 10.0;

arr2[1] = 20.0;

arr2[0] = 0.0;

System.out.println(arr2[1]);

System.out.println(arr2[0]);

// 변수는 크게 몇가지가 존재한다고 하였나요?

// 기본 데이터 타입, 참조 타입

 

char[] ch1 = new char[10]; // 기본 데이터 타입(연관된 데이터) >> 기본데이터 타입에는 값이 바로 들어감

ch1[0] = 'H';

ch1[1] = 'E';

ch1[2] = 'L';

 

String[] strings = new String[5]; // 참조 타입 >> 참조타입은 값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주소값'이 들어간다.

strings[0] = "안녕 반가워";

strings[1] = "안녕 반가워";

strings[2] = "안녕 반가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