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형변환에는

1. 묵시적 형 변환(explicit type conversion, 자동형변환)

2. 명시적 형 변환(implicit type conversion, 강제형변환) 이 있습니다.

 

바이트 크기가 작은 자료형에서 -> 큰 자료형으로 형 변환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int 자료형에서 double 자료형으로 형변환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package ex_01;

 

public class Test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100;

double b =  a;

System.out.println(b);

 

}

}

출력값

100.0

반면에 double 자료형에서 int 자료형의 형변환은 강제 형변환을 사용한다.

 

package ex_01;

 

public class Test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uble b2 = 3.141592;

int a1 = (int) b2; // int 형으로 강제형변환 하기 위해 (int) b2 값을 입력한다.

System.out.println(a1);

 

}

}

출력값

3

반응형

'Java > Java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캐멀(Camel) 스타일  (0) 2023.07.25
[JAVA] 대입연산자와 부호연산자  (0) 2023.07.25
[JAVA] 변수와 상수  (0) 2023.07.25
[JAVA] 변수형과 자료형 - 2  (0) 2023.07.25
[JAVA] 변수와 자료형  (0) 2023.07.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