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접 관계 선택자


종류 사용법 설명
부모 요소 선택자 $("요소 선택").parent() 선택한 부모 요소를 선택합니다.
상위 요소 선택자 $("요소 선택").parents() 선택한 요소의 상위 요소를 모두 선택합니다.
가장 가까운 상위 요소 선택자 $("요소 선택").closest("div") 선택한 요소의 상위 요소 중 가장 가까운 <div>만 선택합니다.
하위 요소 선택자 $("요소 선택 하위 요소") 선택한 요소에 지정한 하위 요소를 선택합니다.
자식 요소 선택자 $("요소 선택>자식 요소") 선택한 요소를 기준으로 자식 관계에 지정한 요소만 선택니다.
자식 요소들 선택자 $("요소 선택").children() 선택한 요소의 모든 자식 요소를 선택합니다.
형(이전) 요소 선택자 $("요소 선택").prev() 선택한 요소의 바로 이전 요소를 선택합니다.
형(이전) 요소들 선택자 $("요소 선택").prevAll() 선택한 요소의 이전 요소 모두를 선택합니다.
지정 형(이전) 요소들 선택자 $("요소 선택").prevUntil("요소명") 선택한 요소부터 지정한 요소의 이전 요소까지 모두 선택합니다.
동생(다음) 요소 선택자 $("요소 선택").next()
$("요소 선택 + 다음요소")
선택한 요소의 다음 요소를 선택합니다.
동생(다음) 요소들 선택자 $("요소 선택").nextAll() 선택한 요소의 다음 요소를 모두 선택합니다.
지정 동생(다음) 요소들 선택자 $("요소 선택").nextUntil("h2") 선택한 요소부터 지정한 요소의 다음 요소까지 모두 선택합니다.
전체 형제 요소 선택자 $(".box_1").siblings() class 값이 box_1인 요소의 형제 요소 전체를 선택합니다.

 

1) 부모 요소 선택자

선택한 부모 요소를 선택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인접 관계 선택자</h1>
    <ul id="wrap">
        <li>리스트1
            <!-- 자식 목록 -->
            <ul>
                <li id="list_1">리스트1-1</li>
                <li>리스트1-2</li>
            </ul>
        </li>
        <li>리스트2</li>
        <li>리스트3</li>
    </ul>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function(){
            // 코딩 : #list_1에서 부모 태그 선택하기
            // 사용법 : $("CSS선택자").parent().함수()
            $("#list_1").parent()
                        .css("border", "2px dashed #f00");
        });
     </script>
</body>
</html>

 

결과

 

2) 자식 요소 선택자

선택한 요소의 모든 자식 요소를 선택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div id="wrap">
        <h1>인접 관계 선택자</h1>
        <p>내용 1</p>
        <section>
            <h1>하위 요소 선택자</h1>
            <p>내용2</p>
        </section>
    </div>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 #wrap > section 아래 자식 태그를 선택해서
        // background-color : yellow
        // border : 2px solid #f00 으로 수정하기

        $(function(){
            $('#wrap > section').children()
            .css('background-color', 'yellow')
            .css('border', '2px solid #f00');
        });
     </script>
</body>
</html>

 

결과

 

3) 형(이전) 요소 선택자 와 동생(다음) 요소들 선택자

- 선택한 요소의 바로 이전 요소를 선택합니다.( $("요소 선택").prev())

- 선택한 요소의 다음 요소를 선택합니다. ( $("요소 선택").next() / $("요소 선택 + 다음요소"))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div>
        <h1>인접 관계 선택자</h1>
        <p>내용1</p>
        <p class="txt">내용2</p>
        <p>내용3</p>
        <p>내용4</p>
      </div>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function(){
            // .txt 선택태그 앞/뒤에 태그 선택하기
            // 사용법 : $('css 선택자').prev().함수() => 앞의 태그 선택
            $('.txt').prev().css('background-color', '#0ff');

            // 뒤의 태그 선택하기
            // 사용법 : $('css 선택자').next().함수() => 뒤의 태그 선택
            $('.txt').next().css('border', '2px dashed #f00');
        });
      </script>
</body>
</html>

 

결과

 

 

4) 형(이전) 요소들 선택자와 동생(다음) 요소들 선택자

- 선택한 요소의 이전 요소 모두를 선택합니다.

- 선택한 요소의 다음 요소를 모두 선택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div id="wrap">
        <h1>인접 관계 선택자</h1>
        <p>내용1</p>
        <p class="txt">내용2</p>
        <p>내용3</p>
        <p>내용4</p>
      </div>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 앞/뒤 모든 태그 선택하기

        // 앞의 모든 태그 선택
        // $('css 선택자').prevAll().함수();
        $('.txt')
        .prevAll()
        .css('background-color', '#0ff')
        .css('border', '2px dashed #f00');

        // 뒤의 모든 태그 선택
        // $('css 선택자').nextAll().함수();
        $('.txt')
        .nextAll()
        .css('background-color', '#f00')
        .css('border', '2px dashed #f00');

      </script>
</body>
</html>

 

결과

 

5) 전체 형제 요소 선택자

- 요소의 형제 요소 전체를 선택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div id="wrap">
      <h1>인접 관계 선택자</h1>
      <p>내용1</p>
      <p class="txt">내용2</p>
      <p>내용3</p>
      <p>내용4</p>
    </div>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function(){
            // 코딩
            // 예제 : .txt의 형제 태그 선택해서 디자인 적용
            // $("CSS선택자").siblings().함수();
            $(".txt").siblings()
            .css("background-color", "#0ff")
            .css("border", "2px dashed #f00");
        });
    </script>
  </body>
</html>

 

결과

 

7) 지정 형(이전) 요소들 선택자와 지정 동생(다음) 요소들 선택자

- 선택한 요소부터 지정한 요소의 이전 요소까지 모두 선택합니다.

- 선택한 요소부터 지정한 요소의 다음 요소까지 모두 선택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div id="wrap">
        <h1 class="title">인접 관계 선택자</h1>
        <p>내용1</p>
        <p>내용2</p>
        <p class="txt3">내용3</p>
        <p>내용4</p>
        <p>내용5</p>
        <p class="txt6">내용6</p>
      </div>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 선택태그(.txt) 부터 대상태그(.title) 앞까지만 선택하기 (앞)
        // 사용법 $('기준선택자').prevUntil('대상선택자').함수()
        $(function(){
            $('.txt3')
            .prevUntil('.title')
            .css('background-color', '#0ff')
            .css('border', '2px dashed #f00');
        });

        // 선택태그(.txt3)부터 대상태그(.txt6)사이 선택하기 (뒤)
        // 사용법 $('기준선택자').prevUntil('대상선택자').함수()
        $(function(){
            $('.txt3')
            .nextUntil('.txt6')
            .css('background-color', '#0ff')
            .css('border', '2px dashed #f00');
        });
      </script>
</body>
</html>

 

결과

 

8) 상위 요소 선택자

- 선택한 요소의 상위 요소를 모두 선택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 class="title">선택자</h1>
    <section>
      <div>
        <p class="txt1">내용</p>
      </div>
    </section>

    <section>
      <div>
        <p class="txt2">내용</p>
      </div>
    </section>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 .txt1 선택태그 위의 부모 모두 선택하기
        // 사용법 : $('css선택자').parents().함수();
        $('.txt1').parents()
        .css('border', '2px dashed #f00');
     </script>
</body>
</html>

 

결과

 

 

9) 가장 가까운 상위 요소 선택자

- 선택한 요소의 상위 요소 중 가장 가까운 태그만 선택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 class="title">선택자</h1>
    <div>
        <div>
            <p class="txt1">내용</p>
        </div>
    </div>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 선택태그에서 부모태그들 중 가장 가까이 있는 태그 선택
        // 사용법 : $('css선택자').closest('부모태그').함수();

        $('.txt1').closest('div')
        .css('border', '2px dashed #f00');
     </script>
</body>
</html>

 

결과

 

반응형

'JavaScript > jQu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jQuery] 직접선택자(2)  (0) 2024.06.26
[jQuery] jQuery 기본과 직접선택자  (0) 2024.06.26
반응형
  • h1 요소와 ID가 tit3인 h3 요소의 스타일을 변경하여, 배경색을 하늘색으로, 테두리를 빨간색 점선으로 적용하기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제이쿼리</h1>
    <h2>선택자</h2>
    <h3 id="tit3">직접선택자</h3>
    <h3>인접선택자</h3>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function(){
            // 예제 : 2개를 선택해서 디자인 적용하기
            // $('선택자, 선택자2').함수();
            $('h1, #tit3')
            .css('background-color', '#0ff')
            .css('border', '2px dashed #f00');
        });
    </script>
</body>
</html>

 

결과

 

💡 일치선택자

 

h1에 tit 부분에 배경색과 border 지정하기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 class="tit">제이쿼리</h1>
    <h1>선택자</h1>
    <h3 class="tit">직접선택자</h3>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 일치 선택자
        $(function(){
            $('h1.tit')
            .css('background-color', '#0ff')
            .css('border', '2px dashed #f00');
        });
    </script>
</body>
</html>

 

결과

💡 연습문제

#wrap 밑에 h1 태그만 선택해서 디자인 적용    background-color yellow    border 2px dashed #f00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 연습문제 : #wrap 밑에 h1 태그만 선택해서 디자인 적용
    background-color yellow
    border 2px dashed #f00
    -->
    <div id="wrap">
        <h1>인접한 관계 선택자</h1>
        <p>내용</p>
        <section>
            <h1>하위 요소 선택자</h1>
            <p>내용2</p>
        </section>
    </div>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wrap > h1')
        .css('background-color', 'yellow')
        .css('border', '2px dashed #f00');
      </script>

</body>
</html>

 

결과

 

 

반응형

'JavaScript > jQu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jQuery] 인접 관계 선택자  (0) 2024.06.26
[jQuery] jQuery 기본과 직접선택자  (0) 2024.06.26
반응형

들어가기 전에


💡 라이브러리?

 

자주 사용되는 함수들의 모임(묶음)을 말합니다.

 

💡 jquery를 사용하게 된 배경
  • 웹 브라우저(익스플로러, 크롬, 사파리 등…) 간의 js 문법이 잘 동작하지 않았음
    • 크로스 브라우저 문제 ⇒ jquery가 등장
  • 바닐라 js 보다 코딩이 짧고 사용이 쉬운 것이 장점
  • 단점으로는 용량이 크고, 성능이 떨어짐
💡 jquery?

 

함수를 이용해서 DOM을 조작하는 것임

 

jQuery 기본문법

$(function() {jquery 실행문});
  • HTML 위쪽에 넣어도 실행되게 만드는 구문 ⇒ HTML 태그 보다 뒤 늦게 실행을 시켜주는 구문
// 사용법

$(function(){
	$('#title').css('color', 'skyblue');
});

 

전체 선택자


‘*’ 키워드를 사용하며, 전체 태그를 선택함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제이쿼리</h1>
    <h2>선택자</h2>
    <h3>직접선택자</h3>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function(){
            // * : 전체선택자
            // 전체 태그를 선택해서 외곽선을 1px solid blue 해라.
            // jquery : $("*").css("속성", "값");   // 디자인 조작
            $("*").css("border", "1px solid blue");
        })
    </script>
</body>
</html>

 

결과

css 선택자


1. 직접선택자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제이쿼리</h1>
    <h2 id="tit">선택자</h2>
    <h3>직접선택자</h3>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function(){
            // jquery 작성
            // 예제 : 배경색: #ff0, border : 2px solid black
            // TODO : 메소드(함수) 체이닝
            // 사용법 : $("CSS선택자").함수().함수() ...
            $("#tit").css("background-color", "#ff0")
                    .css("border", "2px solid black");
        })
    </script>
</body>
</html>

 

결과

[연습문제]

id = tit 선택해서 / background-color : #ff0 / border : 2px dashed black 설정하기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 연습문제 1) id = tit 선택해서 -->
    <!-- background-color : #ff0 -->
    <!-- border : 2px dashed black -->
    <h1>제이쿼리</h1>
    <h2 id="tit">선택자</h2>
    <h3>직접선택자</h3>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function(){
            $("#tit").css("background-color", "#ff0")
                    .css("border", "2px dashed black");
        })
    </script>
</body>
</html>

 

결과

 

[연습문제 2]

h2 태그를 선택해서 디자인 적용하기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 연습문제 h2 태그를 선택해서 디자인 적용 -->
    <!-- background-color : skyblue -->
    <!-- border : 2px dashed black -->
    <h1>제이쿼리</h1>
    <h2>선택자</h2>
    <h3>직접선택자</h3>

    <!-- jquery cdn -->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3.1.0.js"></script>
    <script>
        $(function(){
            $("h2")
            .css("background-color", "skyblue")
            .css("border","2px dashed black");
        })
    </script>
</body>
</html>

 

결과

반응형

'JavaScript > jQu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jQuery] 인접 관계 선택자  (0) 2024.06.26
[jQuery] 직접선택자(2)  (0) 2024.06.26
반응형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할 때는
데이터를 변수와 상수라는 박스를 만들어 그 안에 넣어서 사용합니다.
이때, 변하지 않는 값이라면 변수를, 고정된 값이라면 상수를 사용합니다.

 

변수와 상수?

 

어떤 의미를 가진 하나의 데이터가 여러 곳에서 사용될 때 변수나 상수를 사용하면 코드 작성이 간편해집니다.

이때 값을 저장하고 변경할 수 있는 것을 변수, 똑같이 값을 저장하지만 변하지 않는 고정값을 담는 것을 상수라고 합니다.

 

다음은 변수와 상수를 선언한 코드입니다. 해석을 해보자면 switchOn 이라는 박스에 true 라는 값이, PI(원주율)이라는 박스에 3.1415926535라는 값이 들어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switchOn은 let을 사용한 변수, PI는 const를 사용한 상수라고 부릅니다.

이처럼 변수와 상수는 이름을 통해 어떤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하는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let switchOn = true;
const PI = 3.1415926535

 

변수를 사용하면 수정 내용을 코드 전체에 동일하게 적용해야 할 때 변수만 바꿔 주면 되어 무척 편리합니다.

switchOn 의 true를 false로 바꾸면 switchOn을 사용한 코드에 들어가는 모든 값이 바뀌게 됩니다. 반면 고정된 값을 여러 곳에서 사용할 때는 상수를 사용합니다.

 

 

변수를 사용할 때 var를 사용하지 않나요?

ES6 이전에는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var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였습니다. 자바스크립트 초창기에는 이것이 굉장히 불안정해 오류의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ES6 버전 이후부터는 let과 const가 var를 대체합니다.

*
var x = 1;
var y = 2;

console.log(x, y);

*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같은 이름의 변수를 두 번 선언할 수 있는 등 코드를 불안정하게 하는 원인이 됩니다.

 

간단히 말해서 let은 변수를 만드는 키워드, const는 상수를 만드는 키워드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키워드 의미 특징
let 변수를 선언 넣은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음
const 상수를 선언 넣은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음

 

let

 

아래의 코드는 a라는 박스에 1이라는 데이터를 담는다는 뜻입니다. 프로그래밍에서 등호(=)는 단순히 같다는 뜻이 아니라 왼쪽에 오른쪽의 값을 넣는다고 이해해야 합니다. 따라서 콘솔로 a를 출력하면 let 변수 선언을 통해 담긴 1이라는 결과가 나옵니다.

 

 

b라는 박스를 하나더 만들어서 b에 a값을 넣어보겠습니다.

a, b 박스의 값이 각각 1로 출력되었습니다.

오른쪽에 있는 a라는 박스의 값을 왼쪽의 b 박스에 넣어줬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번에는 let을 붙이지 않고 a 박스에 2를 넣어보겠습니다. 왜냐하면 a라는 박스가 이미 만들어져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a 박스에 원래 들어가 있던 값이 2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출력결과도 2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a에는 "주녘의 IT기술 블로그" 라는 문자열을 b에는 true라는 불리언(참/거짓) 값을 넣어보겠습니다. 출력 결과를 보면 a, b에 들어있는 값이 성공적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et을 붙이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박스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박스안에 있는 값만 바뀌었습니다.

 

 

const

 

상수는 const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선언합니다. A라는 박스에 상수 1을 넣고 출력하면 1이라는 결과가 나옵니다.

* 상수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에서는 대문자로 이름을 짓습니다.

 

여기에 다른 값을 넣으려고 하면 오류가 발생해 코드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어떤 데이터가 절대 바뀌면 안되는 값을 가져야 한다면 const 키워드를 이용해 상수를 선언하면 됩니다.

식별자 명명 규칙
  • 영문, 한글 및 유니코드(대부분의 문자 표현) 글자, 숫자 사용 가능
  • 특수문자는 & 또는 _ 사용가능
  •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
  • 공백(스페이스) 사용 불가
  • 예약어 사용불가
반응형

'JavaScript > JS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템플릿 문자열  (0) 2023.08.31
[JS] 기본이론  (0) 2023.08.23
[JS] 문서 객체 모델 (DOM)  (0) 2023.08.22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입출력방식  (0) 2023.08.16
반응형

템플릿 문자열?


문자열 안에서 변수를 전개하기 위한 표현법

기존의 작성법에서는 문자열과 변수를 결합할 때 +를 사용하였습니다.

 

const name = "junhyuk";

const age = 30;

const message = "내 이름은 " + name + " 이고, 나이는" + age + "살 입니다."

console.log(message);

 

이렇게 작성할 경우 +를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ES2015 이후에는 템플릿 문자열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더욱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const name = "junhyuk";

const age = 30;

const message = `내 이름은 ${name} 이고 나이는 ${age}살 입니다.`

console.log(message);

 

템플릿 문자열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 ` 역따옴표, 백팃으로 문자열을 감싸고 변수를 불러오기 위해 ${변수명} 을 입력해주면 위의 코드와 같이 간단하게 전개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JavaScript > JS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수와 상수에 데이터 담기  (0) 2024.05.28
[JS] 기본이론  (0) 2023.08.23
[JS] 문서 객체 모델 (DOM)  (0) 2023.08.22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입출력방식  (0) 2023.08.16
반응형
Hello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의 기초를 배워봅시다!


화면 출력하기 : alert ( )

alert ( ) 명령문은 말 그대로 알림창을 띄우는 명령어 입니다.

hello JavaScript 을 띄워볼까요?

// TODO : 화면 출력 방법 (결과 확인용)
// 1) 사용법 : alert("문자열");
// 코딩 용어 : ;(세미콜론), :(콜론), &(엔퍼센트)
// 자바스크립트(js) 명령문(문장)의 끝에는 ;(세미콜론) 붙임(생략가능)
alert("Hello JavaScript");

 

화면 출력하기 console.log()

console.log() 명령문은 브라우저 내 개발자 콘솔창에서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nsole.log("Hello JavaScript"); 를 입력하고 출력해봅시다.

브라우저 빈 화면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고 검사버튼을 누릅니다 그럼 화면 오른쪽에 창이 뜨는데, 콘솔 버튼을 누르면 결과값이 출력된 것을 알수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의 텍스트
  • 자바스크립트는 대/소문자를 구별합니다.
  • Apple, apple, APPLE 모두 다른 변수 이름으로 간주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주석

JS는 두 가지 스타일의 주석을 지원합니다. 

// 한 줄 주석

/* 이 것도 주석입니다. */

/*
 * 여러 줄 주석
 * 각 행의 맨 앞의 *은 꼭 써야하는 것은 아님
 */

 

리터럴

리터럴이란 프로그램 안에 직접 쓴 데이터 값을 말합니다. 다음은 모두 리터럴 입니다.

 
12                      // 숫자 12
1.2                     // 숫자 1.2
"hello JavaScript"      // 문자열
'Hi'                    // 다른 문자열
true                    // bool 값
false                   // 다른 bool 값
null                    // 객체가 존재하지 않음

 

식별자와 예약어

식별자 = 이름

자바스크립트에서 식별자는 상수, 변수, 프로퍼티, 함수, 클래스의 이름에 사용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식별자는 반드시 글자(알파벳), 언더바(_), 달러 기호($) 로 시작해야합니다. 

그 뒤에는 글자, 숫자, 밑줄, 달러기호를 쓸 수 있습니다.

반응형

'JavaScript > JS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수와 상수에 데이터 담기  (0) 2024.05.28
템플릿 문자열  (0) 2023.08.31
[JS] 문서 객체 모델 (DOM)  (0) 2023.08.22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입출력방식  (0) 2023.08.16
반응형
문서 객체 모델(DOM, Document Object Model)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웹 문서에 접근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객체를 사용해 웹 문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방법

 

  • HTML 언어로 작성한 웹 문서의 DOM을 HTML DOM이라고 하며, XML 문서에서 사용하는 XML DOM도 있음
  • DOM은 웹 문서를 하나의 객체로 정의
  • 웹 문서를 이루는 텍스트, 이미지, 표 등의 모든 요소도 각각 객체로 정의

웹 문서 전체 - Document 객체

삽입한 이미지 - image 객체 

 

DOM은 웹 문서와 그 안의 모든 요소를 '객체'로 인식하고 처리함.

 

DOM 트리

부모와 자식 구조로 표시하면 마치 나무 형태가 되므로 DOM 트리라고 한다.

DOM 트리에서 가지가 갈라져 나간 항목을 노드(node)라고 하며, DOM 트리의 시작 부분인 html 노드를 나무 뿌리에 해당한다고 해서 루트(root)노드라고 한다.

 

DOM을 구성하는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 모든 HTML 태그는 요소노드임
  • HTML 태그에서 사용하는 텍스트 내용은 자식노드인 텍스트 노드임
  • HTML 태그에 있는 속성은 자식 노드인 속성 노드임
  • 주석은 주석 노드임
반응형

'JavaScript > JS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수와 상수에 데이터 담기  (0) 2024.05.28
템플릿 문자열  (0) 2023.08.31
[JS] 기본이론  (0) 2023.08.23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입출력방식  (0) 2023.08.16
반응형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입출력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JS의 기본입출력 방식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알림창 출력하기

첫 번째로는 알림창을 출력하는 방법입니다.

알림창은 가장 많이 사용하고 간단한 대화상자입니다. 알림창은 간단한 실행결과를 표시할 때 사용합니다.

알림창 출력의 기본은 아래와 같습니다.

 

알림창 출력
alert("메세지");

알림창을 만드는 방법은 alert()를 입력하고 괄호 안에 홑따옴표 또는 쌍따옴표와 함께 출력할 메시지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한 번 실습을 해볼까요?

"안녕하세요" 라는 메시지를 출력해보겠습니다.

왼쪽은 코드값을 입력한 결과이고 오른쪽은 실행결과입니다. 메세지가 뜬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확인 창 출력하기

알림창은 단순히 메시지를 보여주는 기능을 하지만 확인 창은 사용자가 확인/취소 버튼을 직접 클릭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선택한 결과에 맞게 프로그램이 작동합니다.

확인 창 출력하는 기본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확인창 출력
confirm("메세지");

확인 창 출력하는 방법은 confirm("메세지"); 으로 입력합니다.

간단한 예제를 해보겠습니다.

confirm() 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변경하시겠습니까?" 라는 창을 출력해봅시다.

 

입력 창 만들기

프롬프트 창(입력 창)은 텍스트 필드가 존재하는 작은 창입니다. 텍스트 필드안에 간단한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을 가져와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프롬프트 창 생성방법 입니다.

프롬프트 창에서 입력받기
prompt(메시지) 또는 prompt(메시지, 기본값)

입력 창을 만들 때는 기본값을 지정하거나 지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기본값을 지정하면 텍스트 필드안에 기본값이 표시 됩니다. 기본 값을 지정하지 않으면 빈 텍스트 필드로 표시됩니다.

 

 

 

document.write() 문

documnet.write()문은 단순히 브라우저 화면에서 결과값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documnet.write()문의 괄호 안에는 실제 웹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할 내용이나 어떤 결과값이 저장된 변수를 넣을 수 있습니다. 괄호안에서 " " 나 ' ' 사이에 입력한 내용은 웹 브라우저 화면에 그대로 표시됩니다. 또한 따옴표 안에는 HTML 태그도 사용가능합니다.

그리고 웹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할 내용을 변수를 섞어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때는 + 연산자를 이용하면 되는데요, 여기서 +는 더하다는 뜻이 아니라 연결한다라는 연결 연산자 입니다.

다음 실습예제는 name 변수에 저장된 값과 텍스트를 연결해서 표시하는 예제를 실습해보겠습니다.

콘솔 창에 출력하는 console.log()문

console.log()문은 괄호안에 내용을 콘솔 창에 표시합니다.

콘솔 창은 웹 브라우저의 개발자 도구 창에 포함되어있습니다. 이 콘솔창에서 소스코드의 오류를 발견하거나 변수값을 확인 할 수도 있습니다.

console.log() 괄호안에는 변수가 들어갈수도, 따옴표 사이에 표시할 텍스트로 넣을 수 있습니다. 이 때 따옴표 안에는 HTML 태그는 들어갈 수 없습니다.

예제를 한 번 실습해보겠습니다. 프롬프트 창에서 이름을 입력받아 콘솔 창에 표시하는 예제를 실습해보겠습니다.

반응형

'JavaScript > JS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수와 상수에 데이터 담기  (0) 2024.05.28
템플릿 문자열  (0) 2023.08.31
[JS] 기본이론  (0) 2023.08.23
[JS] 문서 객체 모델 (DOM)  (0) 2023.08.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