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lutter의 createElement 함수란?
Flutter에서 UI는 위젯(Widget)을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위젯은 화면의 시각적 요소를 정의하지만, 자체적으로 렌더링되거나 상태를 유지하지는 않습니다. 이 역할은 Element라는 객체가 담당합니다. createElement 함수는 위젯이 Element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메서드입니다. 이 글에서는 createElement의 역할과 사용 방법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
Element와 Widget의 차이
Flutter에서 Widget과 Element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역할이 다릅니다.
- Widget: UI의 정적인 설명서(blueprint)로, 화면에 표시할 구조와 스타일을 정의합니다.
- Element: Widget의 구체적인 구현체로, 렌더링 트리에서 위젯을 관리하고 상태를 유지합니다.
createElement 함수는 Widget에서 Element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createElement의 역할
Flutter의 모든 위젯은 createElement 메서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메서드는 위젯을 기반으로 올바른 타입의 Element를 생성합니다.
- StatelessWidget: StatelessElement를 생성합니다.
- StatefulWidget: StatefulElement를 생성합니다.
- RenderObjectWidget: RenderObjectElement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Element는 위젯 트리와 렌더링 트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reateElement 함수의 기본 구조
Flutter에서는 createElement가 위젯 클래스 내에서 오버라이드(Override)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기본적인 사용 예입니다.
기본 예제:
@override
Element createElement() {
return MyCustomElement(this);
}
이 코드는 현재 위젯에서 새로운 Element를 생성하며, 이 Element는 UI 트리에서 위젯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실제 예제: 커스텀 위젯과 createElement
아래는 createElement를 사용하여 커스텀 위젯과 Element를 정의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1. 커스텀 위젯 정의
import 'package:flutter/widgets.dart';
// 커스텀 위젯
class MyCustomWidget extends Widget {
final String message;
MyCustomWidget(this.message);
@override
Element createElement() {
return MyCustomElement(this);
}
}
2. 커스텀 Element 정의
class MyCustomElement extends Element {
MyCustomElement(MyCustomWidget widget) : super(widget);
@override
void mount(Element? parent, dynamic newSlot) {
super.mount(parent, newSlot);
print('Element Mounted: ${(widget as MyCustomWidget).message}');
}
@override
void update(Widget newWidget) {
super.update(newWidget);
print('Element Updated: ${(widget as MyCustomWidget).message}');
}
}
3. 사용 예제
void main() {
final widget = MyCustomWidget('Hello, Flutter!');
final element = widget.createElement();
element.mount(null, null); // Element가 트리에 추가됨
}
createElement가 중요한 이유
- 위젯 트리와 렌더링 트리 연결:
- createElement는 위젯 트리와 렌더링 트리 간의 연결을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Flutter는 효율적으로 UI를 업데이트하고 다시 그립니다.
- 커스텀 위젯 개발:
- 특별한 요구 사항이 있을 때, createElement를 오버라이드하여 커스텀 위젯과 Element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성능 최적화:
- Element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Flutter는 위젯 트리를 완전히 다시 그리지 않고도 UI를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createElement와 Flutter 생명주기
createElement는 Flutter 위젯의 생명주기에서 초기 단계에 호출됩니다. 아래는 주요 생명주기 단계를 요약한 것입니다:
- Widget 생성: 위젯 트리에서 새 위젯이 생성됩니다.
- Element 생성: 위젯의 createElement 메서드가 호출되어 Element가 생성됩니다.
- mount: Element가 부모 트리에 연결되고 초기화됩니다.
- build: Element가 위젯의 UI를 렌더링합니다.
반응형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트 이해하기 - (7) Flutter의 createState 함수 (0) | 2024.12.01 |
---|---|
다트 이해하기 - (6) Flutter의 build 함수 (0) | 2024.12.01 |
다트 이해하기 - (4) Constructor(생성자) (0) | 2024.12.01 |
다트 이해하기 - (3) 위젯이란? (0) | 2024.12.01 |
다트 이해하기 - (2) 내장 변수타입 (0)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