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할 때는 데이터를 변수와 상수라는 박스를 만들어 그 안에 넣어서 사용합니다.이때, 변하지 않는 값이라면 변수를, 고정된 값이라면 상수를 사용합니다. 변수와 상수? 어떤 의미를 가진 하나의 데이터가 여러 곳에서 사용될 때 변수나 상수를 사용하면 코드 작성이 간편해집니다.이때 값을 저장하고 변경할 수 있는 것을 변수, 똑같이 값을 저장하지만 변하지 않는 고정값을 담는 것을 상수라고 합니다. 다음은 변수와 상수를 선언한 코드입니다. 해석을 해보자면 switchOn 이라는 박스에 true 라는 값이, PI(원주율)이라는 박스에 3.1415926535라는 값이 들어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switchOn은 let을 사용한 변수, PI는 const를 사용한 상수라고 부릅니다.이처..
변수(Variable)란? 변하는 수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 변수의 타입(Data type) ■ 기본형(Primitive Type) - 8개 (boolean, char,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 실제 값을 저장 ■ 참조형(Reference type) -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String, System 등...) - 객체의주소를 저장(4byte, 0x00000000~0xffffffff) 기본형(Primitive Type) 논리형 - true와 false 중 하나의 값으로 갖으며, 조건식과 논리적 계산에 사용 문자형 - 문자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변수 당 하나의 문자만을 저장할 수 있다. 정수형 - 정수 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주로 사용..
변수란 변하는 수를 의미하며 그의 반대인 상수는 변하지 않는 수를 의미한다. 상수의 예로는 원주율(3.14....), 1년은 12개월 등이 있다. 프로그래밍에서 상수를 '값을 한번 저장하면 변경할 수 없는 저장공간'으로 정의하였기 때문에 이와 구분하기 위해 상수를 다른 이름으로 불러야만 했습니다. 그래서 상수 대신 '리터럴'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자바에서 상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명령어 final을 사용합니다. final int MAX_NUM = 12; 대부분의 개발자는 final 예약어를 사용시 상수의 이름을 대문자로 쓰고 연결단어가 있을 경우 _를 사용한다 위의 예시 처럼 MAX_NUM 이라고 사용을 합니다. 그리고 상수는 한번 선언한 값을 다시 다른 값으로 선언할 경우 오류가 발생합니다. pac..
[들어가기 전에] 컴파일 시점 vs 런타임 시점 컴파일이란? 사람이 작성한 언어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경하는 과정! 기계어로 변경을 하면 생성되는 파일이 존재한다. 개발자가 작성한 파일은 .java 파일입니다. 컴파일러가 번역한 파일은 .class 파일입니다. 번역하는 과정을 javac 라는 명령어를 통해서 처리가 가능하다. 이클립스는 저장 ctrl + s를 누르면 자동으로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class 파일로 변환해준다. 즉, 컴파일 시점이란 사람이 작성한 언어를 기계언어로 변경한 시점을 말한다. 런타임시점? java 명령어를 통해서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시점을 말한다. [정리] 컴파일을 처리하면 어디 폴더에 어떤 파일이 만들어 질까요? = > ...xx/bin/ch01/HelloW..